IMF란?
외환위기에 대해서 알아보기에 앞서 외환위기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인 IMF에 대해 짚고 넘어가자.
IMF란 국제통화기금(International Monetary Fund)으로서 1944년 창설된 국제 기구이다.
달러가 부족한 나라에 세계 각국에서 조성한 기금을 융통해주고 차후 원금과 이자를 돌려받는 기관이다.
외화 부족으로 IMF에 구제를 요청하고 재정적 지원을 받게 되면 국가의 신용도가 낮아지고,
때에 따라서는 IMF의 지시에 따라 나라의 경제 구조를 재편해야 하는 상황까지 발생한다.
또한 그 과정에서 해당 국가의 기업이 외국에 싼값에 팔려가는 경우도 있어 국가적으로 큰 손해를 보게된다.
우리나라는 이미 1997년 일명 'IMF 사태' 당시 외환위기로 IMF로부터 구제금융을 받을 수밖에 없었는데,
정부 기관과 기업의 대대적인 구조 조정 및 범국민적 금 모으기 운동, 달러 모으기 운동 등으로 국제통화기금으로부터 받은 구제 금융을 상환하기 위해 노력했다.
결국 약 4년간 이어진 국제통화기금의 관리 이후 2001년 8월 우리나라는 IMF 관리체제의 모범 국가로 손꼽히며 성공적으로 외환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
외환위기란?
그렇다면 외환위기란 정확히 무엇이고 그와 관련된 용어는 어떤 것이 있을까.
외환위기는 어떤 국가에 외화, 특히 달러가 부족하여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것을 말하며,
좀더 정확하게는 해당 국가의 중앙은행에 국가의 고정환율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외환보유고가 없다는 의심이 드는 상황이다.
외화가 부족하면 한국 정부나 은행, 기업 등에서 외국에 빌린 달러나 엔화 등을 갚지 못하게 되어 국가의 신용도가 낮아지게 된다.
외환보유고란?
외환보유고란 나라에서 갑작스러운 외환위기를 막기 위해 중앙은행에 마련해 둔 일종의 외화 비상금고이다.
이 외환보유고에는 달러, 유로 등의 외국 통화, 해외 유가증권, SDR, IMF 포지션, 금이 들어 있다.
유가증권은 국채, 정부기관채, 회사채, 자산유동화증권(MBS, 커버드본드) 등을 말하고
SDR은 IMF 특별 인출권으로 IMF에서 발급하는 바스켓 통화이다.
실체가 없는 준비통화이지만 외환위기가 닥치면 현찰과 같은 가치를 지니며 달러를 대체할 수 있는 국제 준비자산이다.
SDR의 한도는 IMF 출자금 비율에 따라 정해지고
이후 우리나라에 외환위기가 닥치면 우리가 미국에 지불해야 할 달러를 SDR 한도 내에서 대체해 지불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미국 외환보유고에는 해당 금액만큼 SDR이 늘어나고, 한국은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또 IMF 포지션이란 리저브트랑슈(Reserve Tranche)라고도 하는데, 가입국이 IMF에 출자한 금액의 일부를 시간과 조건에 관계없이 인출할 수 있는 권리로서 한도는 출자금의 약 25% 이내이다.
외환보유고 내에 현금으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고, 일종의 채권 같은 성격으로 원할 때는 상시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외환보유고 자산으로 포함되는 것이다.
금은 외환보유고의 1~2% 이내의 비중을 차지하는 자산이다.
국가의 재정적 위기로 해당 국가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게 되면 사실상 화폐는 휴지 조각이나 다름이 없어진다.
이럴 때 금을 달러로 바꿔 화폐를 대신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금을 외환보유고에 넣어두는 것이다.
결론
2022년 10월 현재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약 4167억 달러로 최근 계속해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민국 연준의 강경한 금리 인상 정책이 시작된 이후 급격한 하락세가 동반되었다.
최근 미국의 계속된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로 인해 이런 감소세를 보이는 것인데 이를 두고 IMF 위기에 대한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미국 현지 13일에 있었던 IMF 총재 게오르기에바와 한국 경제부총리 추경호의 면담에서 IMF 총재가 "한국의 견조한 펀더멘털과 높은 대외 신인도를 감안할 때, 과거와 같은 위기 가능성은 없다"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함으로써 논란은 일단락되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공부) 기준금리와 시장금리의 개념과 차이 (0) | 2022.10.24 |
---|---|
경제공부) 주식 공매도의 기본 개념 (0) | 2022.10.17 |
재산세 납부 총정리 | 재산세 납부와 세액 산출방법 (0) | 2022.10.12 |
경제공부) 자신의 투자성향에 맞는 펀드 가입방법 (0) | 2022.10.11 |
경제공부) 펀드의 기본개념과 기준에 따른 종류 (0) | 2022.10.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