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 연준에서 기준금리를 가파르게 인상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한국은행도 연이은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며 두번째 빅스텝은 물론 3연속 빅스텝까지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뉴스나 기사를 보면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현재 3%인데 반해 각종 예금이나 대출 금리는 6%를 넘어서고 있다.
왜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 것일까? 바로 기준금리와 시장금리의 차이 때문이다.
기준금리
기준금리란 한국은행, 즉 중앙은행과 일반은행 사이에 이루어지는 거래에서 사용되는 금리를 말하며 정책금리라고도 한다.
일반인들이 은행에 돈을 맡기거나 빌리는 것처럼 시중 은행은 한국은행에 예금을 들거나 대출을 받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 바로 기준금리를 적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준금리가 5%라면 일반은행은 한국은행에 5%의 이자를 받고 예금을 하거나, 5% 이자를 주고 대출을 하는 것이다.
이 기준금리는 각국의 중앙은행이 경제상황에 따라 주기적으로 관리하여 경기과열과 물가상승을 억제한다.
미국 FOMC의 연준에서 정하는 기준금리나 한국은행에서 발표하는 기준금리 모두 여기에 해당한다.
또한 이렇게 정해진 기준금리는 시장금리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시장금리
시장금리란 말 그대로 '시장'에서 사용되는 금리를 말한다.
기준금리가 일반은행과 한국은행의 거래에 사용되었다면, 시장금리는 이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 통용되는 것이다.
쉽게 말해 정부에서 채권을 발행하거나, 기업에서 사업자금을 위한 대출을 하거나, 일반인이 은행에 저금을 하는 등의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 시장금리다.
요즘 많이 등장하는 금리 6%대의 저축은행 예금 상품이나 7%대의 전세대출도 모두 이러한 시장금리의 적용을 받는 것이다.
같은 시장금리라는 이름으로 묶여 있지만 신용도나 기간, 상품의 종류 등에 따라 그 금리는 천차만별로 바뀌게 된다.
다만 뉴스나 신문 등 각종 언론매체에서 사용되는 시장금리는 별다른 언급이 없다면 일반적으로 국고채금리, 회사채금리, 콜금리, CD금리를 의미하고 그 중에서도 3년 만기 국고채 금리가 가장 대표적이다.
이러한 주요 시장금리의 추이를 조회하려면 e-나라지표를 이용해야 한다.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73
e-나라지표에서는 위와 같은 주요 금리(국고채금리, 회사채금리, CD금리)의 추이 현황을 한 눈에 알 수 있는 그래프와 좀 더 다양한 금리의 통계표 등을 제공한다.
이 외에 다른 항목의 시장금리를 알고싶다면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홈페이지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을 수 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 통계검색 > 통화/금융 > 금리 > 시장금리
https://ecos.bok.or.kr/#/
경제공부) 미국 금리 상승의 개념과 원인, 전망
미국의 금리에 대해서 설명하려면 먼저 연준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연준이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Federal Reserve System)의 줄임말로, 쉽게 말해 우리나라의 한국은행과 같은 미국은행(?)이라고
liplipsmile.tistory.com
경제공부) 미국 금리 상승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경제공부) 미국 금리 상승의 개념과 원인, 전망 미국의 금리에 대해서 설명하려면 먼저 연준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연준이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Federal Reserve System)의 줄임말로, 쉽게 말해
liplipsmile.tistor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공부) 환율이 오르면 수출은? 환율과 수출수입의 관계 (1) | 2022.10.31 |
---|---|
경제공부) 주식 공매도의 기본 개념 (0) | 2022.10.17 |
경제공부) 외환위기란? IMF와 외환보유고의 상관관계 (0) | 2022.10.14 |
재산세 납부 총정리 | 재산세 납부와 세액 산출방법 (0) | 2022.10.12 |
경제공부) 자신의 투자성향에 맞는 펀드 가입방법 (0) | 2022.10.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