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22 경제공부) 태평양 중심의 메가 FTA, CPTPP 지난 포스팅에서 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대규모 무역 협정인 RCEP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경제공부) FTA를 넘어 메가 FTA의 시대, RCEP란? FTA(Free Trade Agreement, 자유 무역 협정)이란 나라간에 지정한 품목을 무관세 혹은 저렴한 관세로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협약으로서 이미 많은 사람들에게 익숙한 경제 용어이다. liplipsmile.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RCEP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TPP에 대해 알아보면서 TPP 가입의 장점과 단점, 앞으로의 전망 등에 대해서 살펴보자. TPP란 Trans-Pacific Strategic Economic Partnership, 즉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으로서 아시아, 태평양 지역 여러 국가 간의 자유무역협정을 위한 경.. 2022. 10. 4. 경제공부) FTA를 넘어 메가 FTA의 시대, RCEP란? FTA(Free Trade Agreement, 자유 무역 협정)이란 나라간에 지정한 품목을 무관세 혹은 저렴한 관세로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협약으로서 이미 많은 사람들에게 익숙한 경제 용어이다. 이 자유 무역 협정은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수입품을 싼 값에 살 수 있고, 기업은 외국으로 더 많은 상품을 수출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수출 경쟁력이 낮은 품목의 경우 외국 제품에 밀려 해당 산업이 약화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FTA가 나라와 나라간에 일대일로 이뤄지는 약속이라면 다양한 나라들이 함께 참여하는 집단적 형태의 협약도 존재하는데 오늘 우리가 살펴볼 RCEP도 그 중 하나이다. RCEP란 '지역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으로 원문으로는 Regional Comprehensiv.. 2022. 10. 3. 경제공부) 하이퍼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지난 포스팅에서는 인플레이션의 정의와 원인, 해결책 등을 알아보았다. https://liplipsmile.tistory.com/69 경제공부) 인플레이션의 원인과 해결방안 인플레이션이란 한 마디로 화폐가치가 하락하여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이다. 통화량이 늘어 사람들에게 돈이 많아지면 돈의 가치가 떨어지면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것이다. 사 liplipsmile.tistory.com 하지만 경제 이론에는 인플레이션 외에도 물가의 상승과 하락에 관련된 다양한 개념들이 있다. 따라서 오늘은 인플레이션에서 더 나아가 하이퍼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등의 용어에 대해 공부해보려고 한다. 먼저 하이퍼인플레션이란 물가가 단기간에 엄청나게 치솟는 것으로 '초인플레이션'이라고도 한다. 정확하게는 월.. 2022. 9. 30. 경제공부) 예금과 적금, 파킹통장의 개념과 이자 차이 쥐꼬리만한 월급이나 사업매출로 먹고사는 현대인들에게 재테크란 선택사항이 아니라 필수사항이나 다름없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가장 쉽고 보편적인 재테크인 예금 및 적금, 파킹통장에 대해서 알아보려고한다. 목차 1. 예금 2. 적금 3. 예금과 적금의 이자 비교 4. 파킹통장 1. 예금 예금은 보통예금과 정기예금으로 나뉘는데 보통예금은 원할 때 언제나 돈을 넣고 뺄 수 있는 수시입출금 형식의 통장으로 주로 우리가 급여통장이나 생활비통장으로 쓰는 것을 말한다. 대신 이렇게 입출금이 자유로운 통장의 경우 대부분 금리가 매우 낮기 때문에 이자를 받아 이윤을 추구하기는 힘들다. 정기예금은 일정금액을 정해진 기간동안 넣어두고 기간 만기시 지정된 금리에 맞은 이자와 함께 돌려받는 것으로 목돈을 넣어 묶어두기 위한 통장이.. 2022. 9. 30. 경제공부) 퇴직연금제도, DB·DC·IRP 퇴직연금이란 회사가 근로자의 노후소득보장을 위해 지급해야 할 퇴직금을 회사가 아닌 금융기관에 맡기고 근로자 퇴직 시 일시금 또는 연금으로 지급하는 퇴직급여제도이다. 퇴직연금은 기존의 퇴직금 제도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생긴 제도로 그 문제점은 크게 두가지로 볼 수 있다. 첫번째로는 퇴직금 수급 보장의 문제이다. 기존의 퇴직금은 전적으로 회사에 의존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퇴직금이 얼마나 쌓여있든 퇴직 당시 회사가 망해버린다면 근로자에게 퇴직금을 제대로 지급할 수 없게 된다. 두번째는 퇴직금이 일시금으로 지급되는 방식의 문제이다. 회사에서 몇 십년간 근무하고 정년퇴직하는 경우 많은 액수의 퇴직금을 한 번에 받게 되는데, 이때 퇴직금을 투자사기나 투자실패 등으로 잃는 사례가 많아 사회적으로 문제가 대두되었다. .. 2022. 9. 29. 경제공부) 인플레이션의 원인과 해결방안 인플레이션이란 한 마디로 화폐가치가 하락하여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이다. 통화량이 늘어 사람들에게 돈이 많아지면 돈의 가치가 떨어지면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돈이 많아지니 쉽게 돈을 지출하며 소비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공급량보다 수요량이 많아져 물건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어떠한 원인에 의해 제품의 생산 비용이 증가할 경우에도 불가피하게 제품 가격은 올라가게 된다. 최근 미국에서 발생한 인플레이션의 경우를 살펴보자. 이 경우는 결과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다양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맞물린 결과이다. 먼저,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상황에서 선진국들은 높은 백신 보급율과 빠르고 정확한 감염자 대처로 인해 비교적 쉽게 상황을 컨트롤할 수 있었지만 개발도상국이나 저소득 .. 2022. 9. 28. 경제공부) 주식투자의 기본, 주가지수 지난 포스팅에서는 주식의 기본적인 개념과 주식회사, 상장회사, 코스피, 코스닥 등 주식에 관련된 기초적인 요소들을 알아보았다. https://liplipsmile.tistory.com/67?category=1308546 경제공부) 주식이란? 주식회사와 상장회사, 코스피와 코스닥 요즘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금리도 급격히 상승해 고금리 예적금상품이 많이 등장하고 있지만, 얼마전까지만 해도 장기적인 저금리 상황때문에 주식이나 비트 liplipsmile.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 단계 더 나아가 시가총액과 주가지수,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 등 주식 투자의 바탕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지수들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먼저 주식시장에는 장내시장과 장외시장이 있고 그중 장내시장에는 .. 2022. 9. 28. 경제공부) 주식이란? 주식회사와 상장회사, 코스피와 코스닥 요즘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금리도 급격히 상승해 고금리 예적금상품이 많이 등장하고 있지만, 얼마전까지만 해도 장기적인 저금리 상황때문에 주식이나 비트코인 같은 모험적인 투자가 유행처럼 번졌다. 그로인해 일명 '개미'같은 소액 주식투자자나 대출을 받아 코인에 투자하는 도박성 투자자가 많아졌다. 이렇게 사회적으로 주식 투자자가 급증했지만 모두가 주식에 대해 제대로 알고 주식을 시작하는 것은 아니다. 남들 다 하니까, 소액만 취미로, 우량주인가 뭔가 아무튼 안전하다니까. 이런 식으로 주식의 개념이나 원리도 모른채로 시작하는 사람이 부지기수다. 오늘은 그래서 주식의 정확한 개념에 대해 공부해보려고 한다. 주식은 무엇인가? 주식은 회사의 소유권으로서 회사의 주인 중 한 사람이라는 증표이다. .. 2022. 9. 27. 경제공부) 미국 금리 상승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경제공부) 미국 금리 상승의 개념과 원인, 전망 미국의 금리에 대해서 설명하려면 먼저 연준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연준이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Federal Reserve System)의 줄임말로, 쉽게 말해 우리나라의 한국은행과 같은 미국은행(?)이라고 liplipsmile.tistory.com 지난 포스팅에서 언급했듯이 현재 미국의 금리는 빅스텝, 자이언트스텝을 넘어 울트라스텝까지 바라보고 있는 상황이다. 오늘은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의 금리 상승이 우리나라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지난 6, 7월 FOMC는 두 달 연속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를 0.75% 포인트 인상)을 단행함으로써 올해에만 4차례 기준금리 인상을 거쳐 현재의 미국 기준금리는 2.25~2.5%까지 오른 상태이다... 2022. 9. 27. 경제공부) 미국 금리 상승의 개념과 원인, 전망 미국의 금리에 대해서 설명하려면 먼저 연준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연준이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Federal Reserve System)의 줄임말로, 쉽게 말해 우리나라의 한국은행과 같은 미국은행(?)이라고 볼 수 있다. 1913년, 지역별로 12개의 준비은행을 비롯해 2800개의 회원은행이 모여 만든 미국의 독립기관이다. 연방준비제도, 즉 연준 내에는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는 다양한 기구들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가 오늘 다루게 될 미국 금리 상승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는 FOMC가 미국 기준금리를 정하는 일을 하기 때문인데 연준 이사 7명과 총재 5명 총 12명이 참석해 투표로 진행한다. 투표는 1년에 8번.. 2022. 9. 27.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