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 즉 우체국에서 10월 25일부터 11월 30일까지 휴면예금 찾아주기 캠페인을 실시한다고 한다.
시중 은행은 5년의 기간을 두고 휴면계좌로 전환되며 서민금융진흥원을 통해 언제든 찾을 수 있지만,
우체국 계좌의 경우 10년이 지나면 국고로 환수조치되어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청구가 불가능하다.
그런데 이번 우체국 휴면예금 찾아주기 캠페인을 통해 일시적으로 국고로 환수된 휴면예금을 찾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해서 정보를 공유하고자 자세한 내용을 포스팅하게 되었다.
지난 8월 기준으로 휴면예금 계좌는 총 828만개로 이 중 1만 원 미만이 93.4%(774만 계좌)를 차지하고 총 합계금액은 약 400억원에 달한다고 한다.
휴면예금 조회방법
우체국 예금보험 홈페이지 www.epostbank.go.kr
우체국예금우체국보험
www.epostbank.go.kr
또는
우체국스마트뱅킹 어플 접속
▶ 본인인증 및 로그인
▶ 예금
▶ 조회 메뉴를 통해
우체국에 보유중인 휴면예금 및 보험금을 조회할 수 있다.
휴면예금 수령방법
후면예금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공통적으로
1. 관련서류 지참
2. 인근 우체국 방문
3. 조회 후 수령
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다만 방문인의 신분에 따라 구비서류가 달라지니 이 점을 잘 유의하고 빠지는 서류 없이 한번에 챙기도록 하자.
예금주 본인 : 통장, 거래인감 또는 서명, 신분증
대리인 : 통장, 서래인감, 위임장, 인감증명서 혹은 본인서명사실확인서, 대리인 신분증
위임장의 도장은 인감증명서의 인감과 일치해야 한다.
미성년자 명의 예금 : 신청인 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 미성년자 기본증명서(상세 또는 특정), 지급동의서(부모 중 1인 방문 시), 통장, 도장
모든 서류는 지급일 기준 3개월 이내에 발급받은 것이어야만 유효하다.
통장이 없는 경우 신분증 지참하여 우체국 방문(전국 우체국 가능)
(단, 수기장학적금은 가입우체국에서만 지급 가능)
휴면예금 조회금액과 실수령액은 이자소득세 등의 세금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번 캠페인은 잊고 있던 현금을 찾는 것뿐만 아니라 대포통장을 이용한 범죄를 예방하려는 목적도 있으니 우체국 거래 경험이 있다면 한번쯤 시간을 내 조회해 보는 것을 추천한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C 제품 판별 사이트 | 깜:빵집과 예스피씨 (0) | 2022.10.27 |
---|---|
신한은행 적금 실시간 이자 확인하는 방법 (신한 쏠 어플) (0) | 2022.10.24 |
아웃룩 메일(Outlook) | 그룹 만들기 및 단체메일 보내기 (0) | 2022.10.21 |
청년내일체움공제 | 조건부터 가입, 수령까지 총정리 (1) | 2022.10.18 |
아웃룩 메일(Outlook) | 서명 만들기 및 수정 방법 (0) | 2022.10.13 |
댓글